티스토리 뷰
우리말 참 쉽게 사용하시나요? 우리말처럼 어려운 것도 없다는 분들도 많은데요,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말 중에서 막상 글로 쓰려면 맞춤법을 잘 지켜서 사용했느냐를 따지기도 하지요.
낱낱이 vs 낱낱히... 어떤 것이 맞을까요?
그 궁금증을 풀어보자구요^^*
결과부터 말씀드리면 낱낱이가 맞습니다. 그 뜻은... '[부사]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.'라는 뜻이죠. 그럼 왜 낱낱이가 맞춤법으로 맞는 것인지 알아보자구요,.
새로운 '-이'와 '-히'의 구별 방법을 제시해 보겠습니다.(이하)
절대 복잡하지 않습니다. 그냥 가볍게 읽어 보시면 됩니다.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현행 맞춤법에서는,
부사화 접미사 '-이'와 '-히'를 구별하는 기준을 아래와 같이 '발음'으로 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
<맞춤법 제51항>
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‘이’로만 나는 것은 ‘-이’로 적고, ‘히’로만 나거나 ‘이’나 ‘히’로 나는 것은
‘-히’로 적는다.
그러나 규정대로 판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애매할 때가 많습니다. 발음이라는 것은 발음하는 사람의
습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.
따라서 다음과 같은 새로운 구별 방법을 제시해 봅니다.
[대원칙]
'-이'가 붙는 말 : 어근이 순수한 우리말일 때
'-히'가 붙는 말 : 어근이 한자어일 때 (벌써 '한자어'에 '한'이라고 하여 'ㅎ'(히)이 들어가 있죠?)
['-이'로 쓰는 것]
(1) 'ㅅ' 받침의 말 뒤에는 '-이'를 붙임 ........ 'ㅅ' 받침을 갖는 한자어는 없음
가붓이, 기웃이, 깨끗이, 나붓이, 남짓이, 나긋나긋이, 느긋이, 둥긋이, 따뜻이, 뚜렷이, 뜨뜻이, 반듯이,
버젓이, 번듯이, 빠듯이, 산뜻이, 산뜻이, 의젓이, 지긋이, 생긋이, 헛되이
(2) 'ㅂ' 불규칙 용언의 뒤에는 '-이'를 붙임 ........ 'ㅂ'이 '오/우'로 바뀜.
가까이(가깝다), 고이(곱다), 가벼이(가볍다), 괴로이(괴롭다), 기꺼이(기껍다), 날카로이(날카롭다),
너그러이(너그러다), 대수로이(대수롭다), 반가이(반갑다), 번거로이(번거롭다), 부드러이(부드럽다),
새로이(새롭다), 쉬이(쉽다), 외로이(외롭다), 즐거이(즐겁다), 자랑스러이(자랑스럽다)
(3) '(준)첩어'는 원칙적으로 '-이'를 붙임 ........ 첩어: 같은 소리나 비슷한 소리가 겹쳐서 이루어진 말
간간이, 겹겹이, 골골샅샅이, 곳곳이, 길길이, 나날이, 다달이, 땀땀이, 몫몫이, 번번이, 샅샅이, 알알이,
앞앞이, 일일이, 줄줄이, 집집이, 짬짬이, 철철이, 틈틈이, 촉촉이, 축축이, 곰곰이, 굽이굽이, 낱낱이
단, 어근이 '첩어'라도 어근에 접사 '하다'를 붙일 수 있으면 '-히'를 붙임.
(예) 꼼꼼하다 - 꼼꼼히, 당당하다 - 당당히, 쓸쓸하다 - 쓸쓸히, 급급하다 - 급급히, 답답하다 - 답답히
(4) 우리말처럼 생겼거나, 발음상으로 '-이'로 짐작할 수 있는 것은 '-이'를 붙임 ..... 기타 기준
오뚝이, 일찍이, 히죽이, 같이, 굳이, 깊이, 높이, 많이, 실없이, 고즈넉이, 그윽이, 깊숙이, 끔찍이,
나직이, 납작이, 불룩이, 삐죽이, 수북이, 적이, 길이, 더욱이, 큼직이
* '한자'에는 뚝,찍,히,같,굳,높,많,없,넉,윽,끔,불,삐,큼...과 같은 말(발음)이 없음
['-히'로 쓰는 것]
원칙적으로 '한자어'임.
(1) 한자어 (대원칙)
엄격히, 정확히, 극히, 급히, 속히, 족히, 능히, 익히, 특히, 간편히, 각별히, 간소히, 공평히, 과감히
도저히, 무단히, 분명히, 상당히, 소홀히, 솔직히, 심히, 열심히, 정결히, 조용히, 신중히
[예외] 항상 예외는 있는 건가봐요~ 이런 것 때문에 영어배울때도 골치가 아팠는데 말이죠.
어근이 순우리말인데도 '-히'로 쓰는 것 ......... 고요히, 나른히, 가만히
(외우는 요령)
★ 고요하고 나른한 오후, 집에 가만히 있다.★
☞ 요약 :
위 구별 기준이 복잡한 것 같아도 예를 많이 들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이고,
'구별의 대원칙'과 '첩어'일 때, 그리고 '예외'(3개)만 잘 알아 두시면 됩니다.
(1) 순우리말일 때 : -이
한자어일 때 : -히
(2) 첩어일 때 : 원칙적으로 -이 (단, '하다'를 붙일 수 있으면 '-히')
(3) 무조건 -히 : 고요히, 나른히, 가만히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한국에서비트코인선물매매
- 사람들이많이보는분봉조사
- 오블완
- 가상자산 매매 봇
- 차익거래 시스템
- 암호화폐 자동거래
- 비트코인선물거래한국
- 코인 자동매매
- 알고리즘 트레이딩
- chatgpto1응답
- 쳇지피티o1응답
- 티스토리챌린지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